ICE 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시험 열차 인터시티 익스페리멘탈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두 대의 동력차와 9~14량의 객차로 구성되며, 최고 속도는 280km/h이다.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었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객차 개조를 통해 좌석, 정원, 편성 등이 변경되었다. 2019년부터는 2030년까지 운행 연장을 위한 두 번째 대규모 정비를 진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고속철도 차량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고속철도 차량 - 트란스라피드
트란스라피드는 전자석 인력으로 부상하여 운행하는 자기부상열차 시스템으로, 속도, 유지 보수, 지형 적응성에서 강점을 가지나 높은 건설 비용과 기술 독점성으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상하이 자기부상 열차가 유일한 상업 운행 사례이다. - 인터시티익스프레스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인터시티익스프레스 - 영국 철도 374
영국 철도 374형은 지멘스 벨라로 D를 기반으로 유로스타가 운행하는 고속철도 차량으로, 영불 해협 터널을 포함한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설계되어 런던, 파리, 브뤼셀, 암스테르담 등을 연결하며 2024년 파리 하계 올림픽 기념 특별 도색 차량도 운행 중이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2
ICE 2는 ICE 1의 단점을 보완하고 수송 수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개발된 독일 고속열차 ICE의 2세대 모델로, 중련 및 분리 운행이 가능하다.
ICE 1 | |
---|---|
기본 정보 | |
![]() | |
![]() | |
종류 | 전기 동차 |
제조사 | AEG ABB 헨셸 크라우스 크루프 지멘스 모빌리티 |
운영사 | DB 페른페어케어 |
차량기지 | 함부르크-Eidelstedt |
제작 년도 | 1989년–1993년 |
제작 대수 | 60대 |
개조 | 2005년–2008년 (1차) 2019년–현재 (2차) |
편성 번호 | 1: Tz 01 ~ 20 2: Tz 51 ~ 71 3: Tz 72 ~ 90 |
편성 | 2량의 동력차, 12량의 중간차 (최대 14량 가능), 9량의 중간차 (2차 개조 후) |
최고 속도 | 280 km/h |
무게 | 849톤 (12량 편성) |
동력 장치 | 제작 당시: 1: ABB 사이리스터-VVVF 2/3: 지멘스 GTO-VVVF 현재: ABB IGBT-VVVF |
집전 방식 | 팬터그래프 |
전기 시스템 | 가공 전차선, 15 kV 16.7 Hz AC |
출력 | 9600 kW (GTO 전력 변환 장치), 7600 kW (IGBT 전력 변환 장치) |
좌석 수 | 743석 (12량 편성) |
안전 장치 | Sifa PZB90 LZB (모든 편성) Integra-Signum 및 ETCS (스위스 운행용 편성) |
연혁 | |
운행 시작 | 1991년 6월 |
상세 정보 | |
편성 | 14량 편성 (2M12T) |
축중 | 19.5톤 |
동력차 중량 | 77.5톤 |
객차 중량 | 50 - 55톤 |
편성 길이 | 358m (부수차 12량) |
동력차 길이 | 20,560mm |
객차 길이 | 26,400mm |
편성 정원 | 703명 |
주전동기 출력 | 1,200 kW × 8기/편성 |
편성 출력 | 9,600 kW |
제어 방식 | VVVF 인버터 제어 |
구동 방식 | 동력 집중식 |
MT비 | Bo′Bo′+2′2′+2′2′ ~ 2′2′+2′2′+Bo′Bo′ |
설계 최고 속도 | 310km/h |
2. 역사
ICE 1은 1985년에 제작된 시험 열차 인터시티엑스페리멘탈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1986년 1월 2일 독일국영철도는 세부 사항을 변경한 입찰 서류를 발표했고,[67] 같은 해 3월 동력차 개발에 착수했다.[68] 1988년부터는 동력차와 객차 생산이 시작되었다.[69]
알렉산더 노이마이스터가 인터시티익스테멘털의 디자인을 일부 수정하여 양산 모델을 만들었지만, 실내 디자인은 옌스 피터스가 담당했다. 옌스 피터스는 1980년대 스위스 열차 인터리고를 설계한 경력이 있다.
1989년 최초의 ICE 1 편성이 제작되었고,[71]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 구간에서 실시된 첫 시험 운행에서 310km의 최고 영업 속도를 기록했다. 1990년 가을, 당초 계획보다 1년 늦게 ICE 1 열차의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1년 2월 28일, ICE 1은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3월 8일에는 함부르크와 울름에서 일반인 초청 행사가 개최되었다.
1991년 6월 2일, 함부르크를 출발한 최초의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영업 열차 '''뮌헨의 아이'''(Münchner Kindlde)가 뮌헨, 하노버, 풀다, 프랑크푸르트, 슈투트가르트, 아우크스부르크 노선을 연결했다.[72]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철도와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 개통으로 18편성의 고속열차가 필요했지만, 개통 당시에는 25편성이 운행 가능했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 ICE 1은 함부르크에서 브레멘과 뮌헨 노선으로 운행을 확대했다. 1992년 3월 31일에는 IC 서비스가 ICE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단거리 서비스인 '''ICE 스프린터'''(ICE Sprinterde)가 도입되었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함부르크에서 바젤, 프랑크푸르트, 카를스루에로 노선이 확대되었다. 1992년 9월 27일에는 취리히까지 가는 최초의 국제 고속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3년 5월 23일, 일부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서비스가 베를린 노선 운행을 시작하면서 3개 노선에 48편성이 증편되었다. 1995년에는 인터라켄, 1998년에는 오스트리아 빈까지 인터시티익스프레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에세데 사고로 완파된 1편성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들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대수선 작업을 통해 공중전화와 객실(컴파트먼트)이 제거되었다.[73] 2006년 9월 식당차를 시작으로 2007년 9월 1일부터는 전 차량에서 흡연이 금지되었다. 같은 해 스위스 노선 운행을 위해 유로 트레인 컨트롤 시스템이 별도로 설치되었다.[74]
2019년부터는 모든 ICE 1 열차가 2030년까지 운행할 수 있도록 두 번째 대규모 정비를 받고 있다.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계획
1985년에 제작된 시험열차 인터시티엑스페리멘탈을 기반으로 한다. 이 계획은 이전부터 추진되었으며, 1986년 1월 2일에 독일국영철도가 세부 사항을 변경한 후 입찰 서류를 발표했다.[67] 같은 해 3월에 동력차 개발에 들어갔으며,[68] 1988년부터 동력차가 생산되기 시작했다.[69] 같은 해 객차 개발도 시작되었다.인터시티익스테멘털의 모델을 만든 알렉산더 노이마이스터가 약간의 디자인 수정을 통해 양산에 성공했으나, 실내 디자인은 옌스 피터스가 기획했다.[70] 옌스 피터스는 1980년대에 스위스의 열차인 인터리고를 설계한 경험이 있다.
1989년에 최초 편성이 제작되었고,[71] 이후 첫 번째 시범 운전에서 최고 영업 속도 310km를 기록했는데, 이는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 구간에서 진행되었다. 당초 계획보다 1년 지연된 1990년 가을에 첫 번째 ICE 1 열차의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1년 2월 28일 ICE 1 도입이 일반인에게 최초로 공개되었고, 같은 해 3월 8일에는 함부르크, 울름에서 일반인을 초청하는 행사가 열렸다.
최초의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영업 운전 열차는 '''뮌헨의 아이'''(Münchner Kindlde)로, 1991년 6월 2일에 함부르크를 출발했다. 이 열차는 함부르크를 출발해 뮌헨, 하노버, 풀다, 프랑크푸르트, 슈투트가르트, 아우구스부르크 노선을 연결했다.[72]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철도,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 개통으로 18편성의 고속열차가 필요했으나, 개통식 당시에는 25편성이 운행 가능했다.
1991년부터 1992년까지 ICE 1은 함부르크 노선에서 브레멘, 뮌헨 노선으로 확대되었고, 1992년 3월 31일에는 IC 서비스가 ICE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단거리 서비스인 '''ICE 스프린터'''(ICE Sprinterde)가 도입되었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함부르크에서 바젤, 프랑크푸르트, 카를스루에 노선이 계속 확대되었다. 같은 해 9월 27일에는 최초로 국제 고속열차가 취리히 구간을 운행하기 시작했다.
1993년 5월 23일, 일부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서비스가 베를린 노선에 운행을 시작하면서 3개 노선에 48편성이 증편되었다. 1995년에는 인터라켄 노선, 1998년에는 오스트리아 빈까지 인터시티익스프레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에세데 사고로 완파된 1편성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대수선 작업을 통해 공중전화와 컴파트먼트가 철거되었다.[73]
2006년 9월 식당차를 시작으로, 2007년 9월 1일에는 전 차량이 흡연석으로 지정되었다. 같은 해 스위스 노선 운행을 위해 유로 트레인 컨트롤 시스템이 별도로 설치되었다.[74]
양산차인 ICE(Intercity-Express)는 1989년부터 1994년 사이에 60개 편성이 제조되었으며, 1991년 6월부터 함부르크 - 뮌헨 간에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63]
2. 2. 양산 및 상업 운행
1985년 제작된 시험열차 인터시티엑스페리멘탈을 기반으로 ICE 1이 만들어졌다. 1986년 1월 2일 독일국영철도가 세부 사항을 변경하여 입찰 서류를 발표했고,[67] 같은 해 3월에 동력차 개발이 시작되었다.[68] 1988년부터 동력차와 객차 개발이 시작되었다.알렉산더 노이마이스터가 인터시티익스테멘털 모델을 일부 수정하여 양산에 성공했지만, 실내 디자인은 옌스 피터스가 맡았다. 옌스 피터스는 1980년대 스위스의 열차인 인터리고를 설계한 경험이 있다.
1989년 최초 편성이 제작되었고,[71]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 구간에서 진행된 첫 시범 운전에서 최고 영업 속도 310km를 기록했다. 1990년 가을, 당초 계획보다 1년 늦게 ICE 1 열차의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1년 2월 28일 ICE 1이 처음으로 일반에 공개되었고, 3월 8일 함부르크, 울름에서 일반인 초청 행사가 열렸다.
1991년 6월 2일, 최초의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영업 열차인 '''뮌헨의 아이'''(Münchner Kindlde)가 함부르크를 출발했다. 이 열차는 함부르크에서 뮌헨, 하노버, 풀다, 프랑크푸르트, 슈투트가르트, 아우크스부르크 노선을 연결했다.[72]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철도와 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철도 개통으로 18편성의 고속열차가 필요했고, 개통 당시에는 25편성이 운행 가능했다. 초기에는 13량(1등석 4량, 식당차 1량, 서비스차 1량, 2등석 7량)으로 구성되었다.[21]
1991년부터 1992년까지 ICE 1은 함부르크 노선에서 브레멘, 뮌헨 노선으로 확대되었다. 1992년 3월 31일 IC 서비스가 ICE로 변경되었고, 같은 해 단거리 서비스인 '''ICE 스프린터'''(ICE Sprinterde)가 도입되었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함부르크에서 바젤, 프랑크푸르트, 카를스루에 노선이 확대되었다. 1992년 9월 27일 최초로 취리히 구간 국제 고속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1993년 5월 23일, 일부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서비스가 베를린 노선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3개 노선 운행으로 당초 계획보다 48편성이 증편되었다. 1995년 인터라켄 노선, 1998년 오스트리아 빈까지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에세데 사고로 완파된 1편성을 제외하고,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나머지 차량은 대수선 작업을 통해 공중전화와 컴파트먼트가 철거되었다.[73]
2006년 9월 식당차를 시작으로, 2007년 9월 1일 전 차량에서 흡연이 금지되었다. 같은 해 스위스 노선 운행을 위해 유로 트레인 컨트롤 시스템이 별도 설치되었다.[74]
도이치반은 ICE 1 열차의 유일한 운영자이자 소유주이다. 현재 59개의 열차 편성(12개의 중간 객차)이 있으며, 약 750석과 360m 길이로 ICE 열차 중 가장 길다.
ICE 1 열차는 다음 노선에서 동기화된 스케줄로 운행된다.
- 함부르크-알토나 - 하노버-괴팅겐-카셀-빌헬름스회헤-프랑크푸르트(암마인)-만하임-칼스루에-바덴바덴-프라이부르크 - 바젤(ICE 노선 '''20''') 또는 슈투트가르트(만하임에서 분기, ICE 노선 '''22''')
- 베를린 - 볼프스부르크-브라운슈바이크-힐데스하임-괴팅겐-카셀-빌헬름스회헤-풀다-하나우-프랑크푸르트(암마인)-만하임 - 칼스루에-오펜부르크-바젤(ICE 노선 '''12''') 또는 슈투트가르트-울름-아우크스부르크-뮌헨(ICE 노선 '''11''')
- 함부르크-알토나 - 하노버-괴팅겐-카셀-빌헬름스회헤-뷔르츠부르크-뉘른베르크-잉골슈타트 - 뮌헨(ICE 노선 '''25''')
- 함부르크-알토나 - 베를린(ICE 노선 '''28'''의 일부)
이 외에도 ICE 1 열차가 다른 ICE 노선에서 단일 열차로 운행된다. 2007년 12월까지 독일에서 인스브루크와 빈으로 가는 ICE 열차도 ICE 1 서비스였다.
UIC 적재 한계를 초과하기 때문에 ICE 1, ICE 2, 메트로폴리탄 열차는 내부적으로 통칭하여 ''ICE A''라고 부른다.[60] 59개의 모든 열차는 함부르크-아이델슈테트에 주둔하고 있다.
편성 양쪽 끝에 동력차를 배치하고 그 사이에 부수 객차를 조성하는 준 동력 집중 방식을 채택했다.[61] 1985년에 등장한 시제차 ICE(InterCityExpreimental, 양산차 등장 후 ICE V로 개칭)를 통해 각종 시험이 진행되었고, 1988년 5월 1일에는 당시 세계 최고 속도 기록인 406.9km를 수립했다.[63][61] 양산차인 ICE(Intercity-Express)는 1989년부터 1994년 사이에 60개 편성이 제조되었으며, 1991년 6월부터 함부르크 - 뮌헨 간에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63]
차량 형식은 편성 양쪽 끝의 동력차가 401형, 중간 부수차는 1등차의 801형, 2등차의 802형, 서비스카의 803형, 식당차 "보드 레스토랑"의 804형으로 구성된다.
2. 3. 대한민국과의 관계
1993년과 1994년에 AES와 지멘스는 타이완에 ICE 45개 열차 세트 주문을 제안했다. 류자오쉬안 타이완 교통부 장관은 1993년 여름 독일에서 ICE를 시험했다.[50]2. 4. 개량 및 현대화
1985년에 제작된 시험열차 인터시티엑스페리멘탈을 모델로 하여, 1986년부터 개발 및 생산이 시작되었다.[67][68][69] 1989년에 최초 편성이 제작되었고,[71] 1990년 가을에 첫 시범 운행이 시작되었다.[16]1991년 6월 2일, 최초의 인터시티익스프레스 영업 열차인 '''뮌헨의 아이'''(Münchner Kindlde)가 함부르크를 출발하여 뮌헨, 하노버, 풀다, 프랑크푸르트, 슈투트가르트, 아우크스부르크 노선을 연결했다.[72] 이후 ICE 1은 노선을 확장하여 1998년에는 오스트리아 빈까지 운행을 시작했다.[4]
에세데 사고로 완파된 1편성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대수선 작업을 거쳤다.[73] 이 과정에서 공중전화와 컴파트먼트가 철거되었고, 2006년부터 2007년까지 전 차량이 금연석으로 지정되었다.[73][74]
2005년 중반부터 2008년 12월까지 ICE 1 열차 세트는 대규모 리모델링 프로그램("Redesign")을 거쳤다. 뉘른베르크 중앙 철도 정비창에서 진행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열차는 10~15년 더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되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색상과 더 밝은 조명 적용
- 티크 나무 패널 사용 (2세대 ICE 3 실내와 유사)[9]
- 2등석 좌석 간격 축소 (열차 세트당 60개 좌석 추가)[9]
- 좌석에 전원 소켓 설치[9]
- 승객 정보 디스플레이 현대화 및 예약 좌석 표시 디스플레이 설치
- 레스토랑 객차 디자인 변경 (ICE T와 유사)[9]
- 접근 가능한 화장실에 비상 버튼 설치, 휠체어 공간에 도움 요청 버튼 설치[9]

리모델링 과정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 시스템, 전화 부스, 2등석 발 받침대 등은 제거되었다. 동력차는 새로운 대차 프레임과 에어컨용 전원 공급 장치를 받았다.[35]
2019년부터 모든 ICE 1 열차는 최소 2030년까지 운행하기 위해 두 번째 대규모 정비를 받고 있다. 2020년 4월에 완료된 첫 번째 정비 열차는 같은 해 6월부터 여객 운송에 투입되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열차 길이를 12량에서 9량으로 단축 (1등석 1량, 2등석 2량 제거)
- 서비스 차량을 2등석 차량으로 개조
- 문에 LED 디스플레이 및 승객 정보 시스템 화면 설치 (ICE 2와 유사)
- 승객 수하물 보관 공간 추가
- 화장실과 ''가족 구역'' 리모델링
- 운전실 좌석 교체
개조된 차량은 ICE ''스프린터'' 노선과 중간 정도 교통량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3. 편성
TGV처럼 전후 동력차, 중간 무동력 트레일러로 구성된 동력집중식 차량이다. 영업 운전 시 무동력 객차 12량을 편성한다. ICE 1 열차는 2대의 동력차와 9~14량의 중간 객차로 구성되며, 정규 운행에서 분리되지 않아 다중 유닛으로 볼 수 있다.
개조 전에는 세 가지 편성으로 운행되었다:
- 개조: 동력차 2량, 중간 객차 12량 (1등석 4량, 식당차 1량, 2등석 7량, 승무원 객실 포함 서비스 객차). 전 객차 금연, 일부 객차에 이동통신 중계기 설치.
- 국내선: 1등석 3량, 2등석 7량, 서비스 객차 및 식당차 각 1량.
- 스위스 노선: 1등석 4량, 2등석 6량, 서비스 객차 및 식당차 각 1량.
14량 편성 시 길이는 410.7m이며, 1등석 192석, 2등석 567석, 식당차 40석, 회의실 4석, 휠체어 공간 2곳을 갖추었다. 대부분 객차는 칸막이와 좌석 열을 모두 제공하며, 열차 양 끝 객차는 흡연 구역이었다. 일부 좌석은 회전 가능했지만, 상업 운송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최고 속도는 고속 신선에서 280km/h, 재래선에서 200km/h이다.[65] 부수차는 10~14량 조합이며, 12량 편성 시 길이는 358m이다.[65] 1등차 3~4량, 식당차 1량, 2등차 6~7량 편성이다. 1등차는 2+1열, 2등차는 2+2열 좌석 배치이며, 식당차는 '보드 레스토랑'이라 불리며 주방, 테이블석, 라운지로 구성된다.[65] 객차 길이는 26.4m, 폭은 최대 3.02m이다.[64]
3. 1. 동력차 (401형)
ICE 1의 동력차는 401형(Baureihe 401de)으로 불리며, ICE V의 동력차 디자인을 바탕으로 전면 디자인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크라우스-마파이, 크루프, 헨셸, AEG, ABB 그룹, 지멘스에서 제작되었다.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는 GTO와 IGBT를 사용하고 있는데, 견인력과 최고 속력은 동일하지만 출력은 GTO 방식이 높고 무게는 가볍다. 스위스 입선 차량의 경우 동력차에 보조 팬터그래프가 달려있다. 스위스, 오스트리아 외 다른 지역에는 전력 호환 문제 및 차량 한계 문제로 입선이 불가능하여 ICE 3, ICE T 차량이 대신 운행한다.
401형 동력차는 운전실과 엔진실로 구성된다. 운전실에는 운전석과 제어 장치 외에도 좌석 뒤에 두 번째 좌석과 여러 제어 장치가 있다. 엔진실에는 양쪽 끝에 문이 있고, 동력차 각 측면에 문이 있는 중앙 복도가 있다.
두 개의 보기는 각각 4개의 강제 공기 냉각 견인 전동기로 구동된다. 각 모터는 1250kW의 연속 정격 출력을 가지며,[21] 차량의 UIC 정격 출력은 4800kW이고, 최대 시작 견인력은 200kN이다. 구동 시스템은 비동기 3상 AC 모터를 사용하며, 헨셸-BBC DE 2500 기관차와 InterCityExperimental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모터는 현재 속도에 따라 전자적으로 조정되는 공압 장치를 사용하여 보기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다("Umschaltbare Antriebsmasse UmAn," 즉, ''전환 가능한 구동 질량'').[21] 동력차는 120형 기관차에서 직접 파생되었다.
동력차에는 10개의 컴퓨터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운전대 양쪽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동 조건을 제어하거나 고장 알림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는 라디오를 통해 유지보수 시설에 자동으로 보고된다.[21]
InterCityExperimental의 동력차는 중간 차량보다 높았지만, ICE 1 시리즈에서는 두 높이가 모두 조정되었다. 이전 모델에서 변경된 주요 사항은 압력 밀폐된 운전실이다.[21]
동력차 001~020호와 501~520호는 ABB에서 제작한 사이리스터를 사용하는 두 대의 전력 변환기(13 SG 01b형)와 AEG에서 제작한 유도 전동기(BAZ 7096/4형)를 장착했다.
다른 모든 동력차(051~090 및 551~591)는 GTO 전력 변환기를 지멘스(SIBAS 16)에서 사용했는데,[3] 이는 동력차가 가속될 때 들을 수 있는 독특한 "멜로디"의 원인이었다.[4] 이 동력차는 지멘스(1TB2427-OGA02형)의 비동기 견인 전동기를 사용한다.[5]
두 버전 모두 기어비가 ≈ 2.586이다.[2][3] 사이리스터 기반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는 동력차의 무게는 약 80.4ton이고, GTO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는 동력차는 2.5톤 더 가볍다.[21]
전력 변환기는 7.6MW로 정격화되어 있다. GTO 버전의 변압기 출력은 5.2MW이며, 그 중 4.5MW는 견인에 사용되고 700kW는 난방, 냉방 및 보조 회로에 사용된다.[21]
2007년 10월, 도이체반(Deutsche Bahn)은 IGBT 전력 변환기를 사이리스터 대신 장착하는 방식으로 동력차 2량의 개조를 입찰했다.[6] 이 개조는 ABB에 낙찰되었으며, ABB는 이 차량에 3단 BORDLINE CC1500_AC_15kV_M_2400_002_A01 견인 변환기를 장착했다.[7] 현장 테스트 후, 사이리스터 변환기가 장착된 동력차 36량이 IGBT로 개조되었다.
2021년 10월, DB은 GTO 견인 변환기가 장착된 동력차 76량 모두를 IGBT로 개조하도록 ABB에 주문했다.[8] 이 개조 과정에서는 견인 전동기와 기어 박스는 교체되지 않았다. 이 개조 후, GTO가 장착된 동력차는 401 006과 401 051 두 량만 남게 되었다.
동력차 정면에는 덮개 아래에 샤르펜베르크 연결기가 있다. 다른 모든 ICE 열차와는 달리, ICE 1 동력차의 연결기는 정규 운행에 사용되지 않는다.[21]
ICE 2 동력차(402형)는 ICE 1의 중간 객차와 호환되며, 필요에 따라 ICE 1 열차와 함께 사용된다. ICE 1 열차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두 대의 ICE 2 동력차(402 045 및 402 046)가 특별 주문되었다.
스위스 운행용 동력차에는 스위스 사양에 맞는 두 번째 집전 장치와 스위스 인테그라-시그넘 안전 시스템 및 유럽 열차 제어 시스템, ETCS이 장착되어 있다. 다른 동력차는 두 번째 집전 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21]
일반적으로 동력차 401 0xx는 1등석 객차에 연결되고, 동력차 401 5xx는 2등석 객차 끝에 연결된다.[9]
3. 2. 객차
ICE 1의 객차는 1등석(801형), 2등석(802형), 장애인 시설 대응 2등석(803형), 식당차(804형)로 구분된다.[21] 좌석은 서비스 시설 유무에 따라 최소 40석에서 최대 70석까지 설치 가능하다. ICE 2 차량과 호환되며, 장애인 시설 대응 2등석(803형)은 휠체어가 들어갈 수 있도록 출입문 너비가 넓다. 식당차(804형)는 801형 및 802형보다 지붕이 약간 높다.[21] 객차 제작사는 링케-호프만-부쉬, 메서슈미트-볼코프-볼름, 두워그, 웨건 유니온이다.

ICE 1 열차는 2대의 동력차와 9~14량의 중간 객차로 구성되며, 정규 운행에서 분리되지 않아 운용 측면에서 다중 유닛으로 볼 수 있다.[65] 2008년 말 완료된 첫 번째 개조 작업을 통해 12량의 중간 객차로 표준화되었다.
개조 전 ICE 1 열차는 세 가지 구성으로 운행되었다.
- 개조된 열차: 2대의 동력차와 12량의 중간 객차 (1등석 4량, 식당차 1량, 2등석 7량). 모든 객차는 금연이며, 일부 객차에는 이동통신 중계기가 설치되었다.
- 국내선용 비개조 열차: 1등석 3량, 2등석 7량, 서비스 객차 및 식당차 각 1량.
- 스위스 노선용 비개조 열차: 1등석 4량, 2등석 6량, 서비스 객차 및 식당차 각 1량.
14량 편성 열차의 길이는 410.7m이며, 1등석 192석, 2등석 567석, 식당차 40석, 회의실 4석, 휠체어 공간 2곳을 갖추었다.
대부분의 객차는 칸막이와 좌석 열을 모두 제공하며, 열차 양 끝 객차는 흡연 구역이었다. 일부 좌석은 회전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상업 운송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801형 객차에는 C-Netz 전화기가 설치되어 있었다.[21]
항목 | 내용 |
---|---|
제조사 | LHB, 듀에바그, 바곤 유니온, MHB, MBB |
차체 | 알루미늄-실리콘 합금 |
차량 길이 | 26.4m[21] |
폭 | 3.02m[21] |
높이 | 3.84m[21] |
바닥 높이 | 1.21m[21] |
중량 | 53.6ton (물, 보급품 포함 1ton) (개조 전)[21] |
정원 | 71명 (개조 후)[10], 66명 (개조 전)[11] |
2등석 객차는 두 구역으로 나뉜다. 한 구역에는 화장실 2개와 6개 좌석이 있는 승객 칸 4개가 있고, 다른 구역에는 2+2 배열 좌석이 설치되어 있다. 개조 전에는 테이블이 있는 구역이 있었으나, 추가 좌석 확보를 위해 축소되었다. 좌석 간격은 1020mm였고, 등받이는 최대 40도까지 젖힐 수 있었다.[21][19][26] 일부 객차는 AIRail 서비스를 위한 수하물 칸으로 개조되었으나, 개조 과정에서 제거되었다.
1993년 10월에 주문한 ICE 2 열차 세트에는 ICE 1 열차에 연결할 추가 객차가 포함되어 있었다.
항목 | 내용 |
---|---|
제조사 | LHB, 듀에바그, 바곤 유니온, MHB, MBB |
차체 | 알루미늄-실리콘 합금 |
차량 길이 | 26.4m[21] |
폭 | 3.02m[21] |
높이 | 3.84m[21] |
바닥 높이 | 1.21m[21] |
정원 | 35명 (개조 후)[10], 45명 (개조 전)[21] |
개조 전 ''803형'' 서비스 차량에는 2등석 39석, 휠체어 공간 2곳, 4석 규모 회의실, 차장실, 식당차 직원용 객실, 휠체어 접근 가능 화장실 (기저귀 교환대 포함)이 있었다. 출입문은 휠체어 접근성 개선을 위해 다른 차량보다 100mm 넓다.[26] 2등석 좌석 배치는 일반 2등석 객차와 동일하며, 열차의 두 번째 전화 부스도 있었다.[21]
회의실에는 대형 테이블, 의자 4개, 타자기, 팩스, 전화, 전원 소켓이 있었다.[13] 3석 이상 예약해야 이용 가능했고, 1등석 승차권이 필요했다. 개조 전에는 승객용 전원 소켓이 회의실에만 있었다.
항목 | 내용 |
---|---|
제조사 | LHB, 듀에바그, 바곤 유니온, MHB, MBB |
차체 | 알루미늄-실리콘 합금 |
차량 길이 | 26.4m[21] |
폭 | 3.02m[21] |
높이 | 4.295m[21] |
바닥 높이 | 1.21m[21] |
정원 | 24석 (식당), 16석 + 10명 입석 (비스트로)[11] |
식당차(804형, '보르트레스토랑')는 총 40석이다. 1등석 방향에는 2+1 배열 테이블 8개(24석)가 있는 식사 공간, 객차 중앙에는 ''보르트비스트로'' 공간(16석+입석 10명)을 마주보는 카운터와 갤리가 있다.[21] 식당차는 지붕이 높아 쉽게 알아볼 수 있으며, 주방 장비 설치를 위해 필요했다. 다른 객차와 달리 승객용 출입문은 없고, 주방 구역에 내부에서만 열 수 있는 문이 있다.[21] 개조 과정에서 갤리가 재설계되어 전자레인지, 용기 보관 공간, 커피 메이커가 추가되었다.[9]
인터시티에 비해 ICE 1은 최고 속도 증가 외에도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했다. 객실 폭이 넓어졌고, 좌석 수는 줄었지만 객차 길이는 동일하게 유지되었다.[26] 모든 객차에 에어컨이 설치되었고, 객차 간 통로는 넓고 문이 없었다. 좌석 간 간격은 다른 독일 열차보다 넓었다. 문은 넓고 자동 계단이 있어 승차가 편리했으며, 객차 구역을 나누는 유리문은 근접 센서로 열렸다. ICE 1은 흡연자와 비흡연자를 다른 객차로 분리한 최초의 독일 열차였다.[21]
각 좌석에는 8개 채널 전환 가능한 3.5 mm 오디오 잭이 있었고, 일부 좌석에는 비디오 모니터가 설치되었다. 수하물은 좌석 위/아래 보관 가능하며, 옷걸이로 객차 주요 부분이 구분되었다.[19] 모든 좌석에 독서등이 있었고, 입구 정보 모니터는 열차 경로와 속도를 표시했다. 1980년대 설계로 인해 개보수 전까지 회의실 외 승객용 전원 소켓은 없었다.[9]
최고 속도는 고속 신선에서 280km/h, 재래선에서 200km/h이다.[65] 부수차는 10~14량 조합이며, 12량 편성 시 길이는 358m이다.[65] 1등차 3~4량, 식당차 1량, 2등차 6~7량으로 구성된다. 1등차는 2+1열, 2등차는 2+2열 좌석 배치이며, 식당차는 '보드 레스토랑'이라 불리며 주방, 테이블석, 라운지로 구성된다.[65]
객차 길이는 26.4m, 폭은 최대 3.02m이다.[64] 초기에는 탄성 차륜을 사용했으나, 에셰데 사고 이후 일체 압연 차륜으로 변경되었다.[65] 동력차는 120형 전기 기관차 기반 인버터 제어 방식, 삼상 교류 유도 전동기를 사용한다. 교류 15kV 16.7Hz 대응, 독일 외 스위스, 오스트리아 운행도 가능하다.[65] 2005년부터 객차 개조 공사가 진행되어 좌석 교체, 정원 증가, 편성 변경 등이 이루어졌다.[65]
4. 기술적 특징
401형 동력차에는 운전실과 엔진실이 있다. 운전석과 제어 장치 외에도 운전실에는 좌석 뒤에 두 번째 좌석과 여러 제어 장치가 있다. 엔진실에는 양쪽 끝에 문이 있고 동력차의 각 측면에 문이 있는 중앙 복도가 있다.
두 개의 보기는 각각 4개의 강제 공기 냉각 견인 전동기로 구동된다. 각 모터는 1250kW의 연속 정격 출력을 가지며,[21] 차량의 UIC 정격 출력은 4800kW이며, 최대 시작 견인력은 200kN이다. 구동 시스템은 비동기 3상 AC 모터를 사용하며, 이는 헨셸-BBC DE 2500 기관차와 InterCityExperimental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러한 모터는 현재 속도에 따라 전자적으로 조정되는 공압 장치를 사용하여 보기와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다.[21] 동력차는 120형 기관차에서 직접 파생되었다.
이 동력차가 운행을 시작했을 때, 예외적으로 진보된 기술로 여겨졌다. 각 동력차 자체에는 10개의 컴퓨터 시스템이 있었다. 예를 들어, 운전대 양쪽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동 조건을 제어하거나 고장 알림을 입력할 수 있었으며, 이는 라디오를 통해 유지보수 시설에 자동으로 보고되었다.[21]
InterCityExperimental의 동력차는 중간 차량보다 높았지만, ICE 1 시리즈의 경우 두 높이가 모두 조정되었다. 이전 모델의 중요한 변경 사항은 압력 밀폐된 운전실이다.[21]
동력차 001~020호와 501~520호는 ABB에서 제작한 사이리스터를 사용하는 두 대의 전력 변환기(13 SG 01b형)와 AEG에서 제작한 유도 전동기(BAZ 7096/4형)를 장착했다.
다른 모든 동력차(051~090 및 551~591)는 지멘스(SIBAS 16)에서 GTO 전력 변환기를 사용했는데,[3] 이는 동력차가 가속될 때 들을 수 있는 독특한 "멜로디"의 원인이었다.[4] 이 동력차는 지멘스(1TB2427-OGA02형)의 비동기 견인 전동기를 사용한다.[5]
두 버전 모두 기어비가 75/29 ≈ 2.586이다.[2][3] 사이리스터 기반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는 동력차의 무게는 약 80.4ton이고, GTO 전력 변환기를 사용하는 동력차는 2.5톤 더 가볍다.[21]
전력 변환기는 7.6MW로 정격화되어 있다. GTO 버전의 변압기 출력은 5.2MW이며, 그 중 4.5MW는 견인에 사용되고 700kW는 난방, 냉방 및 보조 회로에 사용된다.[21]
2007년 10월, 도이체반(Deutsche Bahn)은 IGBT 전력 변환기를 사이리스터 대신 장착하는 방식으로 동력차 2량의 개조를 입찰했다.[6] 이 개조는 ABB에 낙찰되었으며, ABB는 이 차량에 3단 BORDLINE CC1500_AC_15kV_M_2400_002_A01 견인 변환기를 장착했다.[7] 현장 테스트 후, 사이리스터 변환기가 장착된 동력차 36량이 IGBT로 개조되었다.
2021년 10월, DB이 GTO 견인 변환기가 장착된 동력차 76량 모두를 IGBT로 개조하도록 ABB에 주문했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8] 이 개조 과정에서는 견인 전동기와 기어 박스는 교체되지 않았다. 이 일련의 개조 후, GTO가 장착된 동력차는 401 006과 401 051 두 량만 남게 되었다.
정면에 동력차는 덮개 아래에 샤르펜베르크 연결기를 갖추고 있다. 다른 모든 ICE 열차와는 달리, ICE 1 동력차의 연결기는 정규 운행에 사용되지 않는다.[21]
ICE 2 동력차(402형)는 ICE 1의 중간 객차와 호환되며, 필요에 따라 ICE 1 열차와 함께 사용된다. ICE 1 열차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 두 대의 ICE 2 동력차(402 045 및 402 046)가 특별 주문되었다.
스위스 운행용 동력차에는 스위스 사양에 맞는 두 번째 집전 장치와 스위스 인테그라-시그넘 안전 시스템 및 ETCS이 장착되어 있다. 다른 동력차는 두 번째 집전 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21]
일반적으로 동력차 401 0xx는 1등석 객차에 연결되고, 동력차 401 5xx는 2등석 객차 끝에 연결된다.[9]
중간 객차는 강철 현가 장치와 2500mm의 차축 거리를 가진 Drehgestell Bauart Minden-Deutzde형 MD 522 보기에 놓여 있다.[53][54] 새 바퀴의 직경은 920mm이다. 직경이 860mm에 도달하면 교체된다. 객차는 레일 위 900mm 높이에서 ICE 1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반자동 철도 연결기로 연결된다. 이 연결기는 두 개의 브레이크 파이프, 두 개의 전기 열차선, 케이블 및 두 개의 광섬유 케이블을 연결한다. 두 객차 사이의 통로는 너비가 1.1m, 높이가 2.05m이다.[21] InterCityExperimental과는 달리, 외부에서 긍정적으로 잠기지 않는다.
14량 열차의 가속도 거리는 정지 상태에서 평탄한 지형에서 100km/h까지는 900m (66초), 200km/h에서 250km/h까지는 18350m (380초)로 주어진다.[13] LZB 제어 하에서 250km/h에서 (0.5 m/s²)의 서비스 정지 제동 거리는 4820m이고, 급제동(1.05 m/s²) 시에는 2300m이다. 철도 제동을 위해 모든 객차에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있다. 또한, 동력 헤드는 회생 제동을 사용하고, 중간 객차에는 전자기 트랙 브레이크가 있다. 동력차에는 스프링이 장착된 주차 브레이크가 있고, 중간 객차는 동일한 목적으로 스크류 브레이크를 사용한다. 보기에서는 와전류 브레이크로 트랙 브레이크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21]
팬터그래프 유형 'DSA-350 S'는 ICE 1에 사용하기 위해 도르니에에서 특별히 개발되었다. 100kg으로 최소한의 공명을 가진 매우 가벼운 것으로 간주되었다.[55] InterCityExperimental과는 달리, ICE 1은 두 동력차의 고전압 연결이 없다. 이 때문에 운행 중에는 두 동력차의 팬터그래프가 모두 올라간다.[21]
최고 속도는 고속 신선에서 280km/h, 재래선에서 200km/h이다.[65]
5. 사건 및 사고
1998년 6월 3일에 발생한 에셰데 사고는 독일 역사상 최악의 철도 사고이자 전 세계 고속철도 참사 중에서도 가장 끔찍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75] 이 사고로 101명이 사망하고 88명이 중상을 입었다.[52] 사고 열차인 ICE 1 151편성은 거의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일부 손상되지 않은 동력차와 객차만이 다른 편성에 재사용되었다.
5. 1. 에셰데 사고 (1998년)

'''에세데 사고'''(Eschede derailment영어, ICE-Unfall von Eschedede)는 1998년 6월 3일 오전 10시 57분 무렵, 뮌헨발 함부르크행 ICE 884 열차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Wilhelm Conrad Rntgende)호가 독일 에셰데에서 탈선하여, 승객과 승무원 101명이 사망하고 88명이 중상을 입은 사고이다.[75]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독일 최악의 철도 사고이자, 전 세계 고속철도 참사 중 최악의 사건으로 기록되었다.[52]
사고 당시 ICE 1 151편성은 하노버-함부르크 철도의 에셰데 인근, 하노버 북쪽 약 60km 지점에서 1등석 객차 바퀴 파손으로 인해 철도 분기기 설정을 변경시켰다. 이로 인해 뒤따르던 객차들이 탈선, 열차가 통과하려던 교량 기둥과 충돌하면서 교량이 붕괴되었다.
ICE 1은 일체 압연 차륜을 사용했으나, 승차감 및 진동 문제로 탄성 차륜으로 교체되었다. 그러나 에셰데 사고 원인이 탄성 차륜 파손으로 밝혀지면서, 다시 일체 압연 차륜으로 교체되었다.[65]
6. 열차 이름
2002년 10월부터 ICE 1 차량에는 다음과 같은 이름이 붙었다. 이 중 Tz 51편성은 에세데 사고로 폐차되었다.
열차 번호 (Tz) | 이름 | 열차 번호 (Tz) | 이름 | 열차 번호 (Tz) | 이름 |
---|---|---|---|---|---|
01 | Gießen|기센de | 52 | Hanau|하나우de | 73 | Timmendorfer Strand|티멘도르퍼 슈트란드de |
02 | Flensburg|플렌스부르크de | 53 | Neumünster|노이뮌스터de | 74 | Zürich|취리히de |
04 | Mühldorf a. Inn|뮐도르프암인de | 54 | Heppenheim/Bergstraße|헤펜하임/베르크슈트라세de | 76 | Bremen|브레멘de |
05 | Offenbach am Main|오펜바흐암마인de | 55 | Rosenheim|로젠하임de | 77 | Basel|바젤de |
06 | Itzehoe|이체호de | 56 | Freilassing|프라일라싱de | 78 | Bremerhaven|브레머하벤de |
07 | Plattling|플라틀링de | 57 | Landshut|란즈훗de | 80 | Castrop-Rauxel|카스트로프-록셀de |
08 | Lichtenfels|리히텐펠즈de | 58 | Gütersloh|귀터스로de | 84 | Bruchsal|부르흐살de |
09 | Aschaffenburg|아샤펜베르크de | 59 | Bad Oldesloe|바드 올데스로de | 85 | Hildesheim|힐데스하임de |
10 | Gesenkirchen|겔젠키르헨de | 60 | Mülheim an der Ruhr|뮐하임 안 데어 루르de | 87 | Fulda|풀다de |
11 | Nürnberg|뉘른베르크de | 61 | Bebra|베브라de | 88 | Rüdesheim am Rhein|뤼데스하임암라인de |
12 | Memmingen|메밍겐de | 62 | Geisenheim/Rheingau|가이센하임/라인가우de | 90 | Ludwigshafen am Rhein|루트비히스하펜암라인de |
13 | Frankenthal/Pfalz|프랑켄탈/팔츠de | 67 | Garmisch-Partenkirchen|가미쉬-파르텐키르헨de | ||
14 | Friedrichshafen|프리드리히스하펜de | 68 | Crailsheim|크라일스하임de | ||
15 | Regensburg|레겐스부르크de | 69 | Worms|보름스de | ||
16 | Pforzheim|포르츠하임de | ||||
17 | Hof|호프 (바이에른주)de | ||||
19 | Osnabrück|오스나뷔르크de | ||||
20 | Lüneburg|뤼네부르크de |
Tz xx는 열차 번호를 의미한다.
참조
[1]
간행물
Dialog
[2]
서적
Zugspitzen. Lieferungen und Leistungen der AEG Bahnsysteme für die ICE-Triebköpfe.
AEG Bahnsysteme
[3]
서적
Class 401 Power Cars of the Intercity Express (ICE) for the Deutsche Budesbahn (VT 62 · 89/27 - 100054)
AEG-ABB-Siemens
[4]
서적
InterCityExpress − Die Starzüge im Fernverkehr der DB
EK-Verlag
[5]
웹사이트
Los-ID 479238 - Ausschreibung Neukauf von Fahrmotorkomponenten für die Deutsche Bahn AG: u.a. Ständerspulen; Lagerschilde: Stromringe für Fahrmotore verschiedener Baureihen der Deutschen Bahn AG
https://www.schienen[...]
2024-11-28
[6]
웹사이트
Neue Stromrichter für ICE 1
http://www.eurailpre[...]
Eurailpress
2007-10-08
[7]
웹사이트
BORDLINE® CC1500 AC_15kV For high-speed trains
https://library.e.ab[...]
2024-11-28
[8]
웹사이트
ABB traction technology to increase efficiency of Deutsche Bahn’s ICE 1 high-speed trains
https://new.abb.com/[...]
2024-11-28
[9]
간행물
Modernisierung des ICE 1 (Teil 2)
[10]
웹사이트
Seat map
http://www.ice-fanpa[...]
ice-fanpage.de
2008-05-02
[11]
웹사이트
Seat map
http://www.ice-fanpa[...]
ice-fanpage.de
2008-05-02
[12]
서적
Alles über den ICE
transpress-Verlag
[13]
간행물
Bord-Service im ICE
[14]
간행물
Bahnreisen. Unschöne Szenen
[15]
서적
Alles über den ICE
transpress-Verlag
[16]
간행물
ICE. InterCity Experimental. InterCity Express
[17]
간행물
Hochgeschwindigkeitszug der Bundesbahn geht in Serie
[18]
간행물
Jahresrückblick 1988
[19]
간행물
Bundesbahn bestellte 41 ICE-Züge
[20]
간행물
Bundesbahn bestellt 19 weitere ICE-Züge
[21]
서적
Eisenbahn-Journal special 1/91. ICE – InterCityExpress am Start
Verlag Hermann Merker
[22]
간행물
Erster ICE-Triebkopf fertig
[23]
간행물
ICE-Fertigung läuft bereits auf Hochtouren
[24]
간행물
Elektrische Triebfahrzeuge
[25]
문서
de
[26]
간행물
ICE: Roll-out der ersten Zwischenwagen in Salzgitter
[27]
간행물
Die ersten Schritte – Neues vom ICE
[28]
문서
de
[29]
뉴스
Im Zug der Zeit
http://www.zeit.de/1[...]
2013-04-06
[30]
간행물
Teufel: China steht in hohem Ansehen
[31]
간행물
Ein Zug als Zugnummer für Chinas Nummer eins
[32]
서적
ICE – Zug der Zukunft
Hestra-Verlag
[33]
간행물
ICE noch schneller
[34]
간행물
Fahrplanwechsel am 28. Mai: Schneller auf neuen Strecken
[35]
간행물
Modernisierung des ICE 1 (Teil 1)
[36]
간행물
16000 Tonnen Stahl eingespart
[37]
간행물
Halbzeit bei Modernisierung der ICE-1-Flotte
Deutsche Bahn AG
2007-02-09
[38]
간행물
Zwei Jahre ICE 1-Redesign im Bahnwerk Nürnberg
Deutsche Bahn AG
2007-06-14
[39]
간행물
ICE 1-Redesign im Instandhaltungswerk Nürnberg
[40]
간행물
ICE fährt luftgefedert
[41]
간행물
"Surfen" im ICE
[42]
간행물
Skitransport im ICE
[43]
간행물
Ski-Abteile
[44]
간행물
ICE 3 und ICE-T – Neue Triebwagengeneration für die Deutsche Bahn
[45]
간행물
High-speed trains: from power car to distributed traction
[46]
웹사이트
ICE 1 - Präsentationsfahrten in den USA
http://www.ice-fansi[...]
2019-01-02
[47]
웹사이트
Amtrak ICE 401 584 1993, Verladung in Bremerhaven
https://www.drehsche[...]
1993-06-01
[48]
간행물
ICE nach Amerika verschifft
[49]
간행물
ICE Train North America Tour
[50]
간행물
Taiwan testet ICE
[51]
간행물
ICE-Rekordfahrt mit nur sechs Triebmotoren
[52]
웹사이트
Die schwersten Zugunglücke Deutschlands
http://web.de/magazi[...]
2011-12-01
[53]
서적
Rail Vehicle Technology
Springer Fachmedien
2022
[54]
서적
Railway Technical Handbook, Volume 1
https://www.skf.com/[...]
AB SKF
2011-07-01
[55]
간행물
Dem ICE aufs Dach gestiegen
[56]
간행물
Pläne für den Mobilfunk ohne Grenzen
[57]
웹사이트
Tätigkeitsbericht 2006
http://www.db-system[...]
Deutsche Bahn AG, DB Systemtechnik
[58]
문서
Wagner (2006), p. 37
[59]
서적
Alexander Neumeister. Designermonographien 8
Verlag Form
[60]
문서
Deutsche Bahn AG: Corporate Policy 408.0901, valid since 10 December 2006, Paragraph 2
[61]
문서
「ICE列車ファミリー」289頁
[62]
문서
『世界の高速列車II』176頁
[63]
문서
『世界の高速列車II』177頁
[64]
문서
「ICE列車ファミリー」291頁
[65]
문서
『世界の高速列車II』181頁
[66]
웹인용
DB and Siemens sign ICx contract
http://www.railwayga[...]
Railway Gazette International
2011-05-09
[67]
서적
Alles über den ICE
transpress-Verlag
[68]
서적
ICE. InterCity Experimental. InterCity Express
[69]
서적
Eisenbahn-Journal special 1/91. ICE – InterCityExpress am Start
Verlag Hermann Merker
[70]
서적
Alexander Neumeister. Designermonographien 8
Verlag Form
[71]
서적
ICE-Fertigung läuft bereits auf Hochtouren
[72]
웹인용
Im Zug der Zeit
http://www.zeit.de/1[...]
2013-04-06
[73]
서적
Modernisierung des ICE 1 (Teil 1)
[74]
간행물
독일철도 DB Systemtechnik Tätigkeitsbericht 2006
http://www.db-system[...]
2011-07-18
[75]
웹인용
Die schwersten Zugunglücke Deutschlands
http://web.de/magazi[...]
2015-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